무엇을 위해 일을 하시나요?
무엇을 위해 돈을 버시나요?
무엇을 위해 성공하고 싶으신가요?
무엇을 위해 아이가 공부를 잘했으면 하나요?
님이 '해야만 한다'고 혹은 '이뤄야만한다'고 생각하는 수많은 행동과 목표들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생각해보신적 있으신가요?
님의 삶에서의 궁극적인 '왜'는 '건강하게 행복하게 잘 사는 것이겠죠. 님의 모든 선택과 행동들은 결국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일거에요.
모든 인간은 언젠가 죽고, 살아 있는 시간이 그다지 길지 않아요. 어차피 언젠가 죽는 삶이라면, 살아 있는 동안 건강하고 행복한건 인류의 공통적인 목표겠죠. 그러니까 우리가 내리는 모든 선택들과, 행하는 대부분의 행동은 '궁극적으로는' 우리를 더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게 해줄거라는 믿음으로 이뤄지는걸거에요.
그런데 여기서 잠깐!
심호흡을 하고 멈춰서 생각해볼까요?
매일 매일 님이 하는 행동과 생각들이 님이 더 건강하고 행복하게 사는데 기여하고 있나요? 지금 시간과 노력과 돈을 투자하는 것들에 계속 투자하면, 10년 후의 나는 건강하고 행복하게 잘 살 고 있을까요?
80년간 하버드에서 한 연구에 따르면 우리의 삶을 더 건강하고 행복하게 하는데 가장 크게 기여하는 요인은 '관계'였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관계보다는 돈이나 성공, 혹은 특정 숫자(몸무게, 팔로워수 등)나 증서 (학위, 자격증 등)을 더 중시하는 이유는 그런 것들은 눈에 보이는 정량적인 것들이기 때문이에요. 관계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정성적인 것이죠. 정량적인 것들을 많이 가진 사람들이 눈에 띄고, 그들의 '행복한 듯한 모습'을 자주 보는 우리는 쉽게 함정에 빠지게 되요.
저것만 가지면 더 행복해지겠구나.
나는 저것이 없어서 불행하구나.
님도 살면서 원하는 것을 손에 넣으신적이 있으시죠? '결혼'도 그 중 하나였을거에요. 우리 사회는 결혼을 해야한다고 강요하는 사회고, 20대 중후반이 넘어서부터는 반드시 이뤄야 하는 숙제 중 하나로 취급되니까요. 그런데, 결혼을 '이루고' 나서 생각만큼 행복해지던가요? 아니, 이루고 나니 그 이후로 쭉 아무러 노력이 없어도 행복하던가요?
우리의 삶은 단 하나의 성취나 성과로 그 이후의 삶 전체가 규정되는 단편적인 것이 아니에요. 인간은 변한 상황에 쉽게 적응하는 동물이고, 단편적인 사건들은 단편적인 감정을 일으킬 뿐이죠.
근데 관계가 대체 왜 중요할까요? 아무리 생각해도 돈이 더 중요한 것 같은데 말이죠? 돈으로는 님을 행복하게 해줄 모든 것을 다 살 수 있잖아요? 관계는 나를 더 피곤하게 하잖아요?
인생에 딱 한가지의 진리가 있다면 '영원한 것은 없다'는 것일거에요. 인생은 변화 무쌍하고 예측불허니까요. 그런데 인간은 유약하고 나약하죠. 그래서 우리는 '안전망'이 필요해요. 일이 내 마음대로 안 될 때도, 우울하고 절망적일 때도, 길을 몰라 우왕좌왕할 때도 있는 그대로의 내가 가치 있고 소중하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것은 의미 있는 관계들이에요. 님의 존재 가치가 돈이나, 성공 혹은 팔로워 수가 아닌 라는 사람 그 자체라는 것을 알게 해주는 것은 관계 뿐이죠.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의미 있는 관계'와 그렇지 않은 관계는 다르다는거에요. 안전망 역할을 해주지 않는 관계는 우리가 원하는 관계가 아니에요. 내가 성공하지 않으면, 돈이 없으면, 팔로워가 적으면, 혹은 어쩌다 실수를 하면 등을 돌리고 욕을 하는 관계는 행복하기 위한 관계가 아니에요. 그런데 우리는 그런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아주 많은 시간을 쓰고, 정작 의미 있는 관계는 우선순위에서 미루곤 해요.
이런 의미에서 어느 정도의 돈도 행복을 위해서 중요해요. 돈도 굴곡 있는 인생에서 '안전망'이 되어주니까요. 하지만, 그 이상의 돈은 행복과 직결되지 않아요.
오늘은 꼭 진지하게 생각해보셨으면 해요. 은 대체 왜, 무엇을 위해 사는지, 그리고 그목표를 위한 행동들을 차근히 해나가고 있는지!
📑 하버드 대학교의 행복 연구
하버드 대학교의 행복 연구는 1938년과 2015년 사이에 진행된 장기 연구입니다. 이 연구는 건강, 삶의 만족도, 인간관계, 일과 취미, 사회적 지지 등의 주제를 다루면서, 수백 명의 참가자들의 삶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인간의 행복을 연구하였습니다.
이 연구의 첫 번째 단계는 1938년에 시작되었으며, 26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참가자들은 매년 건강 검진을 받고, 인터뷰를 통해 삶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질문에 답했습니다. 이 연구는 이들이 80대, 90대까지 건강하게 살면서도 행복한 삶을 살았는지를 관찰하고자 했습니다.
두 번째 단계는 2015년에 추가된 것으로, 참가자 중 19명은 여전히 살아있었습니다. 또한, 1,300명의 참가자의 자녀들과 손자녀들을 대상으로도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이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결론은 행복한 삶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한 인간관계이며, 이는 자신의 가족, 친구, 커뮤니티, 직장 동료 등과의 긍정적인 관계로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이 연구는 또한 신체적, 정신적 건강, 긍정적인 인간관계, 충만한 삶을 사는 등의 요소가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